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관련 인물 == [[나치 독일/인물]] 문서로. * 전쟁범죄에 가담하지 않은 인물들은 @표시. *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동생인 [[알베르트 괴링]]은 형과 달리 개념인으로 형의 이름값을 이용해 수많은 유태인들을 구하였다. * [[하인리히 힘러]] *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 * [[에른스트 룀]] * [[카를 되니츠]]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롤란트 프라이슬러]] * [[빌헬름 카이텔]]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카 디를레방어]]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요제프 디트리히]] * [[요제프 멩겔레]] * [[오스카 쉰들러]] @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이르마 그레제]] * [[존 라베]] @ * [[테오도어 모렐]]: 히틀러의 주치의 중 한명이었다. 온갖 생체 실험과 장애인 말살 프로젝트인 T 프로젝트의 주역이었던 카를 브란트와 달리 이 양반은 히틀러의 주치의 역할만 충실히 했는데 주치의라는 말에 어울리지 않게 그가 히틀러에게 처방한 약물은 '''코카인, 필로폰과 같은 마약'''으로 전쟁 후기 히틀러의 정신상태를 엉망진창으로 만드는데 매우 크게 일조하였다. 흔히 다들 이를 두고 모렐을 돌팔이 의사라고 부르지만 당시 의사들의 처방기준으로 따지고 보면 지극히 정상적이었다.[* 모렐이 히틀러에게 처방한 약물들 대부분은 현대에 이르러서야 그 독성이 발견되거나 이를 대체할 약품이 등장하며 밀려나 약품으로 당시에는 너도나도 처방해주던 약물들이었다.] @ * 쿠르트 베허(Kurt Becher): 무장친위대였지만 특이하게도 '''[[홀로코스트]]에는 별 관심이 없었던 인물.''' 다만 '''철처한 [[황금만능주의]]자로 돈을 매우 사랑했다.''' 그래서 홀로코스트조차도 뇌물의 수단으로 이용해서 유태인과 집시인들에게 뇌물을 받고[* 다만 괴링처럼 전 재산을 뺏진 않았다.] 그들을 몰래 풀어주는 짓을 하였고, 전후 사업가가 되어 '''3000만 달러의 재산을 모은[* 현가로 30억 달러가 넘는다.] 독일 최대의 거부가 된다.''' * 하인츠 지크프리트 오이겐 하이드리히: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남동생으로 무장친위대 중위. 그러나 [[홀로코스트]]의 주도자였던 형과 달리 '''자신은 유태인과 집시족을 구한 영웅.'''@ * [[트라우들 융에]]: 히틀러의 타자수로 일했다. 히틀러의 유언장을 작성한 것도 그녀. 하지만 전쟁범죄에는 전혀 가담하지 않았으며, 그럼에도 자신이 나치를 위해 일했다는 걸 괴로워하였다.@ * [[마르틴 하이데거]]: 하이데거의 나치 논란은 생전에나 그의 사후에나 하이데거에게 제기되고 있는 가장 큰 비판점이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그는 초기에 나치당이 자신의 철학적 신념[* 고향상실heimatlos로 인한 현대인의 "실존 상실" 상태 극복. 하이데거는 현대인의 정신이 피폐해진 이유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기술주의" 때문이라고 믿었고 제3의 지대에 위치한 나치즘이 기술주의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다.]을 이루어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나치당에 가입했지만, 1년만에 나치당에 열정을 잃었고 자신이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총장직을 1년만에 내려놓은 것을 그 증거로 들었다. 또 하이데거는 전쟁 후반기에 들어 나치당이 자신을 불필요한 "광대"로 여겼고 전시 노역까지 끌려갔음을 주장하였다.[* [[http://berlinreport.com/bbs/board.php?bo_table=germany&wr_id=518&sca=%EC%B2%A0%ED%95%99&page=9|1966년 슈피겔지 인터뷰]]에 나온다.] [[한나 아렌트]][* 최근 들어 아렌트를 좋아하지 않는 [[마르크스주의]] 계열 철학자들이 아렌트를 까는 주요 논리가 정작 나치당원인 하이데거를 변호했으면서 소련을 "좌파 나치즘"으로 폄훼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였다는 점이다.]나 [[카를 야스퍼스]] 등 생전 그와 가까웠던 여러 철학자들이 그러한 이유로 하이데거를 적극적으로나 소극적으로나 변호했으나[* 야스퍼스는 하이데거가 나치주의자였을지언정 반유대주의 이데올로기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는 않았다고 증언했다.] 최근 하이데거의 반유대주의적인 사상이 담긴 "검은 노트"가 발견되어 상당히 논란이 되기도 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